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국민행복카드 신청 및 바우처 사용 알아보기

육아정책정보

by 신선한야채 2023. 6. 2. 11:00

본문

반응형

 

 

아이를 키우는 분들이라면 반드시 신청해야 할 국민행복카드에 대해 알려드리려 합니다.

 

 

 국민행복카드란??

보건복지부에서 2015년에 발급한 체크/신용 카드로서, 건강보험에 가입한 임산부에게 임신, 출산 진료비를 지원하는 고운맘카드와 맘편한카드, 희망e든카드 등 기존에 사업별로 나뉘어있던 것을 하나로 통합한 국가바우처 이용카드입니다.

현재는 약 17종 국가 복지 바우처를 국민행복카드로 이용이 가능합니다.

 

 

 

 누가 이용 가능한가요?

국민행복카드는 아이행복카드처럼 바우처 대상이 아니어도 카드 자체는 국민 누구나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 바우처를 신청하면서 발급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즉, 국민행복카드 발급과 바우처 서비스 신청은 별개로 진행되기 때문에 꼭 확인하셔야 합니다.

 

바우처 서비스 지원대상
건강보험 임신, 출산 진료비 지원 임신확인서로 임신이 확진된 건강보험 가입자 또는 피부양자 중 임신, 출산 진료비 지원 신청자
청소년 산모 임신, 출산 의료비 지원 만 19세 이하 산모로 청소년 산모 임신, 출산 의료비 지원 신청자
사회서비스사업 9종 노인, 장애인, 출산가정 등 사업별 상이
기저귀, 조제분유 지원 중위소득 50%(최저생계비 100%) 이하 저소득층 영아(0~24개월) 가구
에너지 바우처 지원 "생계, 의료, 주거, 교육" 급여 수급자로서 노인, 영유아, 장애인, 임산부, 중증/희귀/난치질환자, 한부모가족, 소년소녀가정(가정위탁보호아동) 포함 세대
아이돌봄 서비스 지원 중위소득 120% 이하의 양육공백이 발생하는 가정
(취업한 부모, 맞벌이 가정, 다자녀 가정 등)
여성청소년 생리대 바우처 지원 생계, 의료, 주거, 교육 급여 수급자, 법정차상위계층, 한부모가족지원대상자에 해당하는 만 11세 ~ 만 18세 여성 청소년
보육료 지원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만 0 ~ 5세
유아학비 지원 국, 공, 사립 유치원에 다니는 만 3 ~ 5세
첫만남이용권 지원 2022년 1월 1일 출생아동부터 최초 1회 200만원 바우처 지원

 

 

 어떤 혜택이 있나요?

 

국민행복카드는 한 장의 카드로 다양한 바우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국민행복카드는 연회비가 없습니다. 카드사별 신용카드/체크카드의 혜택을 그대로 받을 수 있습니다. 단, 일부 체크카드의 경우 은행별로 발급수수료가 있을 수 있습니다.

 

 

 

국가 바우처 사업 내용입니다. 해당 금액은 신청날짜에 따라 일부 상이할 수 있으니 참고하세요.

바우처 혜택은 카드사별 다를 수 있으니 아래 카드사별 링크 참고하세요.

 

BC카드 롯데카드 삼성카드 KB국민카드 신한카드

 

바우처 서비스 지원혜택
건강보험 임신, 출산 진료비 지원 임신 1회당 100만원 이용권(국민행복카드, 고운맘카드) 지원
(다태아 임산부는 140만원 지원, 분만 취약지 20만원 추가)
청소년 산모 임신, 출산 의료비 지원 모든 의료기관(약국포함)에서 임신 및 출산과 관련한 급여 또는 비급여 의료비
(만 1세 미만 영유아가 전국 요양기관에서 의료비, 처방 약제비 지원)
산모, 신생아 건강관리 지원 출산 가정에 출산일 +60일까지 산후조리 가정방문 서비스 이용권 지원
기저귀, 조제분유 지원 기저귀 지원 : 월 64,000원
기저귀+조제분유 지원 : 월 150,000원
※ '22년 하반기 바우처 단가 인생으로 '22.8.1 이후 생성분 변경
기저귀 : 70,000원
조제분유 : 90,000원
에너지 바우처 지원 1인 세대 : 148,000원 (여름 : 29,600원, 겨울 : 118,500원)
2인 세대 : 203,600원 (여름 : 44,200원, 겨울 : 159,400원)
3인 세대 : 278,000원 (여름 : 65,500원, 겨울 : 212,500원)
4인 이상 : 372,100원 (여름 : 93,500원, 겨울 : 278,600원)
아이돌봄 서비스 지원 영아종일제 : 소득유형에 따라 월 36만원 ~ 91만원 지원
시간제 : 소득유형에 따라 시간당 1,625원 ~ 4,875원 지원
여성청소년 생리대 바우처 지원 여성청소년 생리대 구매비용 연 최대 144,000원 지원 ('22.1월 ~ 6월)
여성청소년 생리대 구매비용 연 최대 156,000원 지원 ('22.7월 ~ 12월)
- 2022년 하반기 바우처 단가인상으로 인한 추가 지원 실시
첫만남이용권 지원 2022년 1월 1일 출생아동 부터 최초 1회 200만원 바우처 지원

 

 

 바우처 서비스별 신청은 어디서 하나요?

국가 바우처는 혜택과 운영이관이 다양한 만큼 신청방법에도 차이가 있습니다.

 

 

바우처 서비스 신청방법
건강보험 임신, 출산 진료비 지원 - 국민건강보험공단 지사 또는 카드 영업점 방문
- BC/삼성카드 홈페이지를 통한 온라인 신청
청소년 산모 임신, 출산 의료비 지원 -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포털을 이용한 온라인 신청
산모, 신생아 건강관리 지원 - 산모의 주민등록 주소지 관할 시, 군, 구 보건소에 방문하여 신청
- 복지로 온라인 신청
기저귀, 조제분유 지원 - 영아의 주민등록 주소지 관할 시, 군, 구 보건소에 방문하여 신청
에너지 바우처 지원 - 주민등록상 거주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방문하여 신청
- 복지로 온라인 신청
아이돌봄 서비스 지원 - 정부지원 신청 : 주소지 관할 주민센터 방문/복지로 온라인 신청
- 아이돌봄 서비스 신청 : 아이돌봄 홈페이지에서 신청서 작성
여성청소년 생리대 바우처 지원 - 청소년의 주민등록 주소지 관할 읍, 면사무소, 동 주민센터 방문 신청
- 복지로 온라인 신청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