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를 키우는 분들이라면 반드시 신청해야 할 국민행복카드에 대해 알려드리려 합니다.
보건복지부에서 2015년에 발급한 체크/신용 카드로서, 건강보험에 가입한 임산부에게 임신, 출산 진료비를 지원하는 고운맘카드와 맘편한카드, 희망e든카드 등 기존에 사업별로 나뉘어있던 것을 하나로 통합한 국가바우처 이용카드입니다.
현재는 약 17종 국가 복지 바우처를 국민행복카드로 이용이 가능합니다.
국민행복카드는 아이행복카드처럼 바우처 대상이 아니어도 카드 자체는 국민 누구나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 바우처를 신청하면서 발급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즉, 국민행복카드 발급과 바우처 서비스 신청은 별개로 진행되기 때문에 꼭 확인하셔야 합니다.
바우처 서비스 | 지원대상 |
건강보험 임신, 출산 진료비 지원 | 임신확인서로 임신이 확진된 건강보험 가입자 또는 피부양자 중 임신, 출산 진료비 지원 신청자 |
청소년 산모 임신, 출산 의료비 지원 | 만 19세 이하 산모로 청소년 산모 임신, 출산 의료비 지원 신청자 |
사회서비스사업 9종 | 노인, 장애인, 출산가정 등 사업별 상이 |
기저귀, 조제분유 지원 | 중위소득 50%(최저생계비 100%) 이하 저소득층 영아(0~24개월) 가구 |
에너지 바우처 지원 | "생계, 의료, 주거, 교육" 급여 수급자로서 노인, 영유아, 장애인, 임산부, 중증/희귀/난치질환자, 한부모가족, 소년소녀가정(가정위탁보호아동) 포함 세대 |
아이돌봄 서비스 지원 | 중위소득 120% 이하의 양육공백이 발생하는 가정 (취업한 부모, 맞벌이 가정, 다자녀 가정 등) |
여성청소년 생리대 바우처 지원 | 생계, 의료, 주거, 교육 급여 수급자, 법정차상위계층, 한부모가족지원대상자에 해당하는 만 11세 ~ 만 18세 여성 청소년 |
보육료 지원 |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만 0 ~ 5세 |
유아학비 지원 | 국, 공, 사립 유치원에 다니는 만 3 ~ 5세 |
첫만남이용권 지원 | 2022년 1월 1일 출생아동부터 최초 1회 200만원 바우처 지원 |
국민행복카드는 한 장의 카드로 다양한 바우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국민행복카드는 연회비가 없습니다. 카드사별 신용카드/체크카드의 혜택을 그대로 받을 수 있습니다. 단, 일부 체크카드의 경우 은행별로 발급수수료가 있을 수 있습니다.
국가 바우처 사업 내용입니다. 해당 금액은 신청날짜에 따라 일부 상이할 수 있으니 참고하세요.
바우처 혜택은 카드사별 다를 수 있으니 아래 카드사별 링크 참고하세요.
BC카드 | 롯데카드 | 삼성카드 | KB국민카드 | 신한카드 |
![]() |
![]() |
![]() |
![]() |
![]() |
바우처 서비스 | 지원혜택 |
건강보험 임신, 출산 진료비 지원 | 임신 1회당 100만원 이용권(국민행복카드, 고운맘카드) 지원 (다태아 임산부는 140만원 지원, 분만 취약지 20만원 추가) |
청소년 산모 임신, 출산 의료비 지원 | 모든 의료기관(약국포함)에서 임신 및 출산과 관련한 급여 또는 비급여 의료비 (만 1세 미만 영유아가 전국 요양기관에서 의료비, 처방 약제비 지원) |
산모, 신생아 건강관리 지원 | 출산 가정에 출산일 +60일까지 산후조리 가정방문 서비스 이용권 지원 |
기저귀, 조제분유 지원 | 기저귀 지원 : 월 64,000원 기저귀+조제분유 지원 : 월 150,000원 ※ '22년 하반기 바우처 단가 인생으로 '22.8.1 이후 생성분 변경 기저귀 : 70,000원 조제분유 : 90,000원 |
에너지 바우처 지원 | 1인 세대 : 148,000원 (여름 : 29,600원, 겨울 : 118,500원) 2인 세대 : 203,600원 (여름 : 44,200원, 겨울 : 159,400원) 3인 세대 : 278,000원 (여름 : 65,500원, 겨울 : 212,500원) 4인 이상 : 372,100원 (여름 : 93,500원, 겨울 : 278,600원) |
아이돌봄 서비스 지원 | 영아종일제 : 소득유형에 따라 월 36만원 ~ 91만원 지원 시간제 : 소득유형에 따라 시간당 1,625원 ~ 4,875원 지원 |
여성청소년 생리대 바우처 지원 | 여성청소년 생리대 구매비용 연 최대 144,000원 지원 ('22.1월 ~ 6월) 여성청소년 생리대 구매비용 연 최대 156,000원 지원 ('22.7월 ~ 12월) - 2022년 하반기 바우처 단가인상으로 인한 추가 지원 실시 |
첫만남이용권 지원 | 2022년 1월 1일 출생아동 부터 최초 1회 200만원 바우처 지원 |
국가 바우처는 혜택과 운영이관이 다양한 만큼 신청방법에도 차이가 있습니다.
바우처 서비스 | 신청방법 |
건강보험 임신, 출산 진료비 지원 | - 국민건강보험공단 지사 또는 카드 영업점 방문 - BC/삼성카드 홈페이지를 통한 온라인 신청 |
청소년 산모 임신, 출산 의료비 지원 | -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포털을 이용한 온라인 신청 |
산모, 신생아 건강관리 지원 | - 산모의 주민등록 주소지 관할 시, 군, 구 보건소에 방문하여 신청 - 복지로 온라인 신청 |
기저귀, 조제분유 지원 | - 영아의 주민등록 주소지 관할 시, 군, 구 보건소에 방문하여 신청 |
에너지 바우처 지원 | - 주민등록상 거주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방문하여 신청 - 복지로 온라인 신청 |
아이돌봄 서비스 지원 | - 정부지원 신청 : 주소지 관할 주민센터 방문/복지로 온라인 신청 - 아이돌봄 서비스 신청 : 아이돌봄 홈페이지에서 신청서 작성 |
여성청소년 생리대 바우처 지원 | - 청소년의 주민등록 주소지 관할 읍, 면사무소, 동 주민센터 방문 신청 - 복지로 온라인 신청 |
다자녀 국가 장학금 지원혜택 및 신청방법 (0) | 2023.06.08 |
---|---|
고양특례시 출산지원금 한자녀출산지원금 지원 내용 (1) | 2023.06.06 |
배우자 출산휴가 알아보기 (0) | 2023.05.31 |
제44회 맘앤베이비엑스포 킨텍스 개최_최대 90% 할인 (0) | 2023.05.25 |
23년 지역별 출산지원금 확인 하는 방법 (1) | 2023.05.16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