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정보플랫폼 사이트는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운영하고 있으며 국토 디지털 전환을 선도하는 공간정보 핵심기관으로의 비전을 갖고 있으며 최고의 신뢰성을 가진 국가 위치기준 확립, 국민 맞춤형 공간정보 DB구축, 전 국토의 디지털화, 공간정보산업의 미래전략 산업으로 전환을 주요 정책과제로 운영 중에 있습니다.
대한민국의 공간정보와 지리정보를 제공하는 주요 플랫폼으로 주요 기능과 서비스는 다음과 같습니다.
- 다양한 지도 제공 : 일반지도, 항공사진, 지형도 등 다양한 형태의 지도를 제공
- 주소 및 검색 : 사용자가 원하는 주소나 장소를 검색하여 해당 위치를 지도에서 확인할 수 있음
- 거리 및 면적 측정 : 지도 상에서 특정 구간의 거리나 영역의 면적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 제공
<국토통계지도>
인구, 건물, 토지, 국토지표 등 행정구역별, 연도별 통계정보 확인이 가능
<북한지도>
북한 시계열 영상, 북한지명에 대한 정보 확인이 가능
<정밀도로지도>
정밀도로지도 성과(노선별, 기준점정보, GNSS수신정보, 점군, 벡터) 다운로드 및 구축현황 정보 제공
- 점군데이터 성과는 고속도로에 한해서 제공됨
- 온라인 신청절차는 공문접수 > 점군데이터 조회 및 신청 > 담당자 검토 및 승인 > 점군데이터 다운로드 및 DRM 인증
- 공문접수는 문서24(정부전자문서유통지원센터)를 통해 신청 공문을 접수(보안관리방안을 공문과 함께 제출)
- 공문접수처 : 국토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 스마트공간정보과
- 처리결과는 신청인 휴대전화번호로 SMS가 전송
- 다운로드 받은 점군데이터의 DRM 인증 및 복호화는 공지사항 게시판에 첨부된 S/W 활용
<대동여지도>
1861년 김정호가 조선을 남북 22폭(또는 층)으로 나누어 만든 목판본 대축척 조선 지도책
원문 검색 및 열람은 "규장각 원문검색서비스(http://kyudb.snu.ac.kr)에서 확인 가능
<삼일운동지도>
삼일운동지도는 국사편찬위원회로부터 삼일운동 데이터베이스를 제공받아 시위정보와 공간정보를 종합하여 제공
삼일운동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국사편찬위원회 삼일운동 데이터베이스 서비스(http://db.history.go.kr/samil) 확인 가능
<종이지도>
종이지도는 1910년도부터 2015년까지 구축된 지도정보를 제공
<영상지도>
영상지도는 국토위성영상, 위성정사영상, 사용자친화형국토위성영상, 모자이크 영상 등 영상유형별 정보 제공
- 지적도 정보 : 토지의 경계와 소유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지적도 제공
- 건물 정보 : 건물의 위치, 용도, 높이 등 상세 정보를 조회할 수 있음
- 행정구역 정보 : 시군구, 읍면동 등 행정구역 경계를 지도에서 확인 가능
- 왼쪽에는 다양한 카테고리가 구비되어 있고 화면 상단에는 통합검색이 가능한 검색창이 존재
- 오른쪽에는 지도 이동과 관련된 세부 기능 존재
- 인쇄 및 공유 : 현재 보고 있는 지도를 인쇄하거나 URL로 공유할 수 있는 기능 제공
- 다국어 지원 : 한국어 외에도 영어 등 다양한 언어를 지원
- 공간 데이터 다운로드 : GIS 분석 등을 위해 필요한 공간 데이터 다운로드 가능
- API 서비스 : 개발자를 위한 지도 API를 제공하여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 지도 연동 가능
<통합검색>
통합검색을 통해 수치지형도 다운로드가 가능하며 인덱스(1:1,000, 1:5,000, 1:25,000 등) 설정에 따라 검색/다운로드 가능
<영역검색>
원, 사각형, 다각형 등 사용자가 영역을 선택하면 해당 지역내 존재하는 공간정보 다운로드 가능
<반경검색>
250m, 1.25km, 6.25km, 12.5km 등 사용자가 원하는 반경을 선택하면 해당하는 공간정보 조회/다운로드 가능
<행정구역 검색>
사용자가 시도, 시군구 설정 시 해당 지역 내 포함되는 공간정보 제공
<간편 선택>
간편 선택은 사용자가 원하는 공간정보를 바로 쉽게 선택해서 확인할 수 있도록 정보 제공
국가공간정보포털 서비스 종료(브이월드에서) (0) | 2024.12.17 |
---|---|
제2차('25~34') 공간정보 연구개발(R&D) 로드맵 발표 (0) | 2024.12.17 |
표준노드링크 이해하기 (0) | 2024.12.17 |
QGIS. 최신 한글 매뉴얼 PDF 다운로드 (0) | 2024.08.27 |
QGIS. 다운로드 및 설치하는 방법('24년) (0) | 2024.08.20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