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는 2025년부터 2034년까지 10년간 총 3,600억 원을 투자하는 공간정보 연구개발(R&D) 로드맵을 발표
이번 로드맵은 '더 빠르고 정확한', '누구나 이용 가능하며', '다양한 산업과 연결되는' 공간정보 기술개발을 목표로 자율주행, 도심항공교통(UAM), 스마트시티 등 미래 산업과 스마트한 일상을 혁신하는 방향을 제시
<제2차 공간정보 기술개발 중장기 로드맵(안) 비전체계도, 출처 : 국토부 보도자료>
위성 신호가 도달하기 어려운 지하철역, 대형 복합 쇼핑몰, 터널 등에서 GPS 오차를 미터급에서 센티미터급으로 줄이는 기술을 개발하여 실내외 구분 없이 정확한 길 안내 지원
AI를 활용하여 건물 외벽부터 내부 공간까지 3D 데이터를 자동 생성하고 변화를 관리하는 기술을 개발, 이를 통해 도시계획 담당자가 갱신된 3D 데이터를 즉시 확인하여 도로 확장이나 도시 설계에 필요한 정보를 신속히 제공받을 수 있음
디지털트윈 기술 활용 시 개인정보와 데이터 유출에 대한 우려를 해소하는 암호화 기술을 개발하여 정밀한 공간정보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도모
공공ㆍ민간 구분 없이 공간정보를 누구나 쉽게 접근하고 공유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해 맞춤형 결과를 제공하는 대화형 플랫폼 구현 계획
기존의 2차원 중심의 위치기준체계를 넘어 지상, 지하, 실내, 공중까지 아우르는 3차원 체계로 공간적 범위를 확장하여 도심항공교통(UAM), 드론, 로봇 등 첨단기술이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
<출처 : 국토교통부 보도자료>
브이월드(VWorld) 사이트 살펴보기 (1) | 2024.12.19 |
---|---|
국가공간정보포털 서비스 종료(브이월드에서) (0) | 2024.12.17 |
국토정보플랫폼 사이트 살펴보기 (1) | 2024.12.17 |
표준노드링크 이해하기 (0) | 2024.12.17 |
QGIS. 최신 한글 매뉴얼 PDF 다운로드 (0) | 2024.08.27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