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교통망(노드(Node), 링크(Link)) 체계는 사업주체별로 각기 개발되어 교통정보의 상호교환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으로 교통정보의 원활한 교환을 위해 전국 교통망에 대해 단일화된 표준교통망 DB구축이 필요
노드는 차량이 도로를 주행함에 있어 속도의 변화가 발생되는 곳을 표현한 지점이며 유형은 다음과 같음
- 교차로
- 교량 시ㆍ종점
- 고가도로 시ㆍ종점
- 도로의 시ㆍ종점
- 지하차도 시ㆍ종점
- 터널 시ㆍ종점
- 행정 경계
- IC/JC
노드는 링크를 구분하는 점(링크 시작점, 링크 종료점)으로 운영 지침(표준노드/링크)에 따라 도로교차점, 도로 시종점, 교통통제점, 도로구조 변환점, 행정구역 변환점, 도로 운영 변환점, 교통 진출입점, 그 외 ITS 사업 주체가 필요에 따라 정하는 지점
필드명 | NODE_ID | NODE_TYPE | NODE_NAME | TURN_P | REMARK |
속성명 | 노드ID | 노드유형 | 교차로명칭 | 회전제한유무 | 비고 |
링크는 속도변화 발생점인 노드와 노드를 연결한 선을 의미하여 실세계에서의 도로를 의미하며 유형은 다음과 같음
- 도로
- 교량
- 고가도로
- 지하차도
- 터널
노드와 노드를 이은 도로중심선을 방향별로 일정간격 이격시켜 생성한 선으로 실제 도로구간에 대한 정보를 담음
필드명 | LINK_ID | F_NODE | T_NODE | LANES | ROAD_RANK | ROAD_TYPE | ROAD_NO |
속성명 | 링크ID | 시작노드ID | 종료노드ID | 차로수 | 도로등급 | 도로유형 | 도로번호 |
필드명 | ROAD_NAME | MULTI_LINK | CONNECT | MAX_SPD | REST_VEH | REST_W | REST_H | REMARK |
속성명 | 도로명 | 중용구간여부 | 연결로코드 | 최고제한속도 | 통과제한차량 | 통과제한하중 | 통과제한높이 | 비고 |
표준노드링크는 한국도로공사, 지방국토관리청, 지방자치단체 등의 도로관리주체는 표준노드링/링크 관리시스템을 이용하여 국토교통부 국가교통정보센터의 통합표준노드/링크 DB와 연계
- 국토교통부 국가교통정보센터는 신규, 갱신 요청이 없더라도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도로에 대해 직접 구축 가능
해당 사이트에서 자세한 내용 설명 및 데이터 다운로드 가능
전국표준노드링크 | ITS 국가교통정보센터(National Transport Information Center)
ITS 국가교통정보센터
ITS 국가교통정보센터
its.go.kr
국가공간정보포털 서비스 종료(브이월드에서) (0) | 2024.12.17 |
---|---|
제2차('25~34') 공간정보 연구개발(R&D) 로드맵 발표 (0) | 2024.12.17 |
국토정보플랫폼 사이트 살펴보기 (1) | 2024.12.17 |
QGIS. 최신 한글 매뉴얼 PDF 다운로드 (0) | 2024.08.27 |
QGIS. 다운로드 및 설치하는 방법('24년) (0) | 2024.08.20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