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greSQL은 객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Object-Relational Database Management System, ORDBMS)로 강력한 확장성과 신뢰성을 자랑하는 데이터베이스입니다. 기존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을 확장하여 객체 지향적 기능을 추가하며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저장하고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PostgreSQL은 기업용 데이터베이스로 많이 사용되는 Orcal, MySQL, SQL Server와 비교해도 손색이 없으며 오픈소스 프로젝트로 자유롭게 사용하고 수정할 수 있습니다.
PostgreSQL의 공식 마스코트는 'Slonik(슬로닉)' 이라는 코끼리 캐릭터입니다.
'Slonik'은 러시아어로 '작은 코끼리'를 의미하여 다음의 이유로 코끼리를 선택한 것으로 유추할 수 있습니다.
1. 견고함과 신뢰성
: 코끼리는 크고 강하며, 오랫동안 살아남은 동물입니다. PostgreSQL은 안정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지향하기 때문에 이를 상징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코끼리는 선택함
2. 기억력
: 코끼리는 기억력이 뛰어난 동물로 알려져 있습니다. PostgreSQL도 데이터의 보존과 정합성을 중요하게 여기기 때문에 이러한 특징과 연결됨
3. 확장성과 강력한 기능
: 코끼리는 강력한 힘을 가지고 있으며, PostgreSQL 역시 대규모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확장성과 성능을 갖춤
Step 1) PostgreSQL 대표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화면에서 'Download'를 클릭합니다.
PostgreSQL: The world's most advanced open source database
PostgreSQL
The world's most advanced open source database.
www.postgresql.org
Step 2) 설치하려는 PC의 환경을 선택합니다. 해당 글에서는 Windows를 기준으로 진행합니다.
Step 3) Postgres Version을 찾아서 설치를 해줘야 합니다. 'Download the Installer"라고 적혀 있는 첫 문장을 클릭합니다.
Step 4) 설치하고자 하는 Version을 선택합니다. 저는 16.6 버전을 선택해 주도록 하겠습니다.
물론, Windows를 선택해서 다운로드 해줍니다.
Step 5) 다운로드한 'postgresql-16.6.3-windows-x64.exe' 파일을 실행합니다.
'Next' 버튼 눌러서 진행합니다.
설치할 폴더를 선택해야 하는데 기본적으로 세팅된 경로를 사용합니다.
PostgreSQL에 필요한 프로그램입니다. 모두 체크 확인하시고 'Next' 눌러줍니다.
데이터를 저장할 디렉터리를 정합니다. 기본 위치는 PostgreSQL 폴더 하위로 설정됩니다.
데이터베이스 관리자(database superuser)의 비밀번호를 설정해야 합니다.
특히, 비밀번호를 잊어버릴 경우 사용이 제한되므로 꼭 기억하셔야 합니다!!
서버가 수신할 포트번호를 설정해야 하는데, 기본 포트인 5432로 두고 'Next' 눌러줍니다.
언어 설정에 대한 부분으로 'Default Locale'로 설정하고 'Next' 눌러줍니다.
위에서 설정한 부분들을 요약해서 보여줍니다. 'Next' 눌러줍니다.
확인이 끝나면 'Next'를 눌러 설치를 시작합니다.
약 3분 정도 기다리면 설치가 완료됩니다.
설치가 끝나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오게 되는데 여기서 'Finish'를 눌러 마무리합니다.
PostGIS는 PostgreSQL을 위한 공간 데이터 확장 모듈로 GIS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 관리, 분석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PostGIS는 공간데이터 저장, 공간 인덱싱, 공간 함수 등의 기능이 가능합니다.
Setp 1) PostGIS를 설치하려면 'Stack Builder'를 이용해야 합니다. 'Stack Builder'는 PostgreSQL 설치를 보완하는 모듈을 다운로드하고 설치를 쉽게 도와주는 유틸리티입니다.
위와 같은 실행화면에서 가운데 콤보 박스 부분을 선택해 줍니다.
그럼 설치목록에서 'PostgreSQL 16.6 (x64) on port 5432'를 선택합니다.
Step 2) 'Categories'에서 'Spatial Extensions'을 선택하고 PostGIS 버전을 선택해 줍니다.
저는 'PostGIS 3.5 Bundle for PostgreSQL 16 (64bit) v3.5.2'를 선택했습니다. 그리고 'Next' 눌러줍니다.
Step 3) 다운로드할 디렉터리를 설정해 줍니다. 그리고 'Next' 눌러줍니다.
그럼 다운로드 창이 열리면서 데이터가 다운로드됩니다.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위와 같은 창이 열립니다. 'Next' 눌러줍니다.
Step 4) 다운로드된 PostGIS 파일을 실행해 줍니다. 'I Agree' 눌러줍니다.
별도로 체크박스를 선택하지 않고 'Next' 눌러줍니다.
설치할 폴더 선택 후 'Next' 눌러줍니다.
그럼 설치가 완료되고 'Finish' 눌러서 마무리합니다.
순서대로 따라 하시면 설치하는데 무리 없을 듯합니다. 천천히 따라 해 보세요!
브이월드(VWorld) 사이트 살펴보기 (1) | 2024.12.19 |
---|---|
국가공간정보포털 서비스 종료(브이월드에서) (0) | 2024.12.17 |
제2차('25~34') 공간정보 연구개발(R&D) 로드맵 발표 (0) | 2024.12.17 |
국토정보플랫폼 사이트 살펴보기 (1) | 2024.12.17 |
표준노드링크 이해하기 (0) | 2024.12.17 |
댓글 영역